티스토리 뷰
자료 분석
원격탐사의 형태는 필름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아날로그 형태의 항공사진과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디지털영상 자료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영상자료는 컴퓨터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게 일반적인 분석 방법이다. 컴퓨터 기술과 영상처리 기법의 발달로 영상분석 과정의 많은 부분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자동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영상에서 특정 목표물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여러 지표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등급으로 분류하는 기법들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원격탐사자료의 분석이 컴퓨터 영상처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필름을 이용한 아날로그 항공사진은 더 이상 촬영하지 않지만, 과거 수십 년 동안 축적된 항공사진의 판독 기법은 아직도 매우 유용한 자료 분석 방법이다. 항공사진이나 디지털 영상자료를 맨눈으로 판독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가장 기본적인 원격탐사자료 분석 방법이다. 과거에 인화된 항공사진이나 양화 필름을 맨눈으로 판독하는 대신, 컴퓨터 화면에 출력된 디지털 영상을 판독하는 과정은 거의 동일하다. 영상처리 기법이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과 지식을 이용한 육안 판독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모든 원격탐사자료 분석은 육안 판독과 디지털영상 처리 기법을 혼용하여 이루어진다.
정보 이용
원격탐사자료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성격에 따라 정성적 정보와 정량적 정보로 나눌 수 있다. 정성적 정보는 지표물을 인식, 분류, 탐지하여 얻은 정보에 해당하며 토지피복분류, 산림의 수종 분류, 암석의 구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량적 정보는 해수면의 엽록소 농도, 농작물의 엽면적지수, 토양 수분 등과 같이 영상의 각 화소에 해당하는 지점의 생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정보다. 원격탐사에 얻어지는 대표적인 정보를 활용 분야에 따라 정성적 성격과 정량적 성격으로 구분하여 나열했다. 초기 원격탐사에서는 토지피복 및 식생 구분 등 정성적 정보인 주제도 제작이 주된 목적이었으며, 센서 및 자료 분석 방법도 정성적 정보 추출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성적 정보에 추가하여 보다 정량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원격탐사 센서 및 자료 처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지도 제작 분야에서 정성적 정보는 토지이용/토지피복, 식생도, 지질도 등 주제도 제작에 해당하고 정량적 정보는 지형도, 3D 도시 모델 등 지형도 제작에 해당한다. 식생 분야에서 정성적 정보는 농작물 분류, 산림 수종 분류, 식물의 활력도, 식물 피해 등이 해당하며 정량적 정보는 엽면적지수, 식물생산량, 생체량, 유효광합성 복사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해양 및 수질 분야에서 정성적 정보는 혼탁도, 홍수피해지 구분, 해빙 분포 등이 해당하며, 정량적 정보는 엽록소 함유량, 해수면 표면온도, 적설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토양 및 지질 분야에서 정성적 정보는 토양 종류, 암석 구분, 지질 구조 등이며 정량적 정보는 토양수분, 표면온도, 광물 함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기 분야에서 구름 분포, 황사 분포 등이 정성적 정보이고 수증기 함량, 황사 노동이 정량적 정보에 해당한다.
'Remote Sen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탐사 자료 형태, 탑재 수단, 관측 대상 (0) | 2022.06.17 |
---|---|
원격탐사 시스템의 구분 (0) | 2022.06.17 |
원격탐사 과정 (0) | 2022.06.16 |
원격탐사의 활용 분야 (0) | 2022.06.16 |
원격탐사의 기능 (0) | 2022.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