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탐사 영상의 분류는 매우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므로, 여러 가지 분류 방법이 있다. 원격탐사 영상분류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의 종류 및 특징을 간단히 비교한다. 물론 표에 열거한 분류 방법 외에도 다른 방법이 있으며, 새로운 분류 방법이 지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표에 열거된 각 분류 방법도 적용 방식과 과정에 따라 다양한 변이가 존재한다. 원격탐사 영상분류는 크게 감독 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와 무감독 분류(unsupervised classification)로 구분한다. 감독 분류는 영상분류에 필요한 기준을 분석자가 제공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한 분류과정을 '훈련'시키고 '감독'하는 분류 방법이다. 분석자는 대상 지역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등급(class)에..
원격탐사 영상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육안에 의한 영상판독과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처리로 나눌 수 있다. 물론 현재 원격탐사 영상은 대부분 디지털 자료이므로, 컴퓨터 영상처리가 주된 방법이지만, 모니터에 출력된 영상을 육안으로 판독하고 해석하는 방법도 함께 필요하다. 필름에 의하여 생성된 과거의 항공사진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주로 육안에 의한 시각적 해석과 판독에 의존하였다. 항공사진의 분석 기술은 추출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진측량과 사진판독으로 나뉜다. 사진측량은 지형지물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거리, 방향, 면적, 형상 등의 정보를 추출하며, 사진판독은 특정 물체 및 지표물 인식, 구분, 탐지하는 정성적인 정보 해석 기술이다. 현재의 사진 측량은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
전자광학 영상의 해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물의 분광반사율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지구 표면을 덮고 있는 모든 지표물의 분광반사 특성을 파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또한 지구의 모든 지표물에 대한 분광반사 측정자료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원격탐사 영상 해석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주요 지표물에 대한 기본적인 분광반사 특성이다. 지구 표면의 70%는 물로 덮여 있다. 따라서 물의 기본적인 분광반사 특성을 이해하면 최소한 영상에서 수면을 판독할 수 있고, 이를 확장 응용하면 물의 혼탁도 및 엽록소 함량과 같이 물의 특성에 따른 영상의 해석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지구 육지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물체는 농지, 산림, 초지를 덮고 있는 식물이다. 식물의 분광반사 특성은 다른 지표물과 다리 식물..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1982년 발사된 우리별-1호로 중량이 50kg 미만인 소형 위성으로 우주 기술 축적과 자립을 위한 일종의 실험 위성이었다. 한국에서 본격적인 지구관측위성 사업은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 KOMPSAT-1호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 정지궤도관측위상을 포함하여 다수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의 지구관측위성 사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다목적실용위성 사업은 고해상도 영상을 기반으로 지도 제작, 지리정보시스템, 환경 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두 번째는 기상, 해양, 대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측하기 위한 정지궤도 위성 사업으로 정지궤도에서 해양 및 대기 관측은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된 해색 모니터링과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과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있다..
데이터를 아무리 많이 모아 놔도 활용하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적당히 가공한 후 통계로 요약해야 의사 결정에 쓸 수 있다. 또한 끊임없이 변하는 현실 세계를 반영하기 위해 지속해서 삽입, 삭제, 수정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관리의 대상이기도 하다. 초장기의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제조사마다 구조가 독특해 관리 방법이 제각각이었다. 경쟁적으로 기능을 늘려가던 시기여서 명령을 통일할 만한 기회도 없었다. 데이터를 읽는 기본적인 명령조차 제품마다 달랐다. 이런 상황이면 한 제품에 익수해져도 다른 제품은 다시 배워야 한다. 또 이미 구축한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으로 옮기기 어려워 엄청난 사회적 낭비를 초래한다.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통적인 표준 언어가 필요하며 ..
국립공원의 식생 보전 가치를 규명하고 신뢰성 높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공원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식생 정보는 중요하다. 우리나라 산림 목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제작된 산림청의 임상도와 1:25,000의 소축척 현존식생도는 국립공원의 식생 현황을 세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립공원의 식생 관리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자연 자원조사 및 모니터링 결과의 활용성을 높이고, 공원 관리 및 민원에 대해 효과적이고 신뢰성 높게 대응하고자 2011년부터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작된 1:5000의 대축척 정밀식생 지도를 바탕으로 국립공원의 식생 보전현황을 분석하였다. 정밀식생 지도는 정사 보정된 고해상도 항공영상 자료와 1:5000 수치지형도를 참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