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탐사영상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육안에 의한 영상판독과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처리로 나눌 수 있다. 물론 현재 원격탐사영상은 대부분 디지털 자료이므로, 컴퓨터 영상처리가 주된 방법이지만, 모니터에 출력된 영상을 육안으로 판독하고 해석하는 방법도 함께 필요하다. 필름에 의하여 생성된 과거의 항공사진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주로 육안에 의한 시각적 해석과 판독에 의존하였다. 항공사진의 분석 기술은 추출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진측량과 사진판독으로 나뉜다. 사진측량은 지형지물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거리, 방향, 면적 형상 등의 정보를 추출하며, 사진관은 특정 물체 및 지표물을 인식, 구분, 탐지하는 정성적인 정보 해석기술이다. 현재의 사진측량은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
한국 주요 GIS 좌표계 정리 Proj6.0부터는 국토지리정보원이 고시한 Molodensky-Badekas 10계수 모델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Proj6.0을 좌표계 라이브러리로 사용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경우 아래 Bursa-Wolf 7계수 모델을 이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QGIS는 3.10.3부터) 자동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고시값을 물고 들어와 타원체 변환을 수행해 줍니다. QGIS 같은 경우 https://www.osgeo.kr/276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좌표계에 관한 정보들은 타원체 변환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이 2002년 12월에 고시(제2002-433호)한 "국가좌표변환계수"의 Bursa-Wolf 모델용 7개의 변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의 공식 좌표계변환 관..
1. 포트 포워딩 80포트를 5000포트로 포트 포워딩하기 위해 다음 구문을 실행한다. web1mhz@deepgis:~$sudo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 5000 2. 포트 포워딩 조회 80포트를 5000포트로 포트 포워딩한 후 제대로 포워딩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 구문을 실행하면 된다. web1mhz@deepgis:~$sudo iptables -t nat -L --line-numbers 아래 그림을 보면 5개의 포트 포워딩이 동일하게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포트 포워딩 삭제 위의 그림에서 5번에 해당하는 포트 포워딩을 삭제하기 위해서 다음 구문처럼 삭제하고자 하는..
건물 바닥면 도로 구간과 같은 GIS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사상은 정확한 지리적 위치 및 이와 연관된 공간적 범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한다. 우리는 지리적 공간에서 이러한 사상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보통 지리참조(geo-referencing)라 부른다. GIS를 사용하여 연구 지역의 공간 데이터를 단지 목록화하거나 분석하고자 할 때 왜 데이터, 타원체, 지오이드 좌표계 등을 포함하는 지리참조에 대해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분 자신한테 질문할지도 모르겠다. 여기에 대한 대답으로, 그러한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없이는 GIS를 사용해 만들어 내는 결과가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얘기 할 수 있다. 사실 그 결과물들이 부정확하거나 아니면 잘못 이해될 수 있다. 따..
SPOT 및 Sentinel-2 미국의 Landsat 프로그램이 비록 실험위성으로 시작했지만, 기대 이상의 성과가 도출됨에 따라 프랑스 러시아, 일본, 인도 등 다른 나라에서도 독자적인 지구관측위성 개발을 추진했다. 1980년대에 여러 나라에서 지구관측위성을 발사했는데, 프랑스 정부를 주축으로 개발한 SPOT(Systeme Pour I’Observation de la Terre)-1호가 1986년에 발사된 이래 지금까지 모두 7기의 위성을 발사하여 양질의 다중분광영상을 지속적으로 영상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유럽우주국(ESA)을 주축으로 유럽 여러 나라가 공동으로 지구관측위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SPOT 위성 또한 유럽의 다른 위성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SPOT 프로그램의 개요 SPOT은 ..
Landsat-8호 Landsat-7호 발사 후 Landsat 사업의 지속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Landsat 영상이 오랜 기간 지구환경, 도시, 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ETM+ 영상과 같은 중해상도 다중분광영상이 계속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미국 정부는 2000년대 초반부터 상업용 지구관측위성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추가 Landsat(LDCM)의 개발과 운영을 민간업체에 완전히 넘기는 방안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2007년 NASA에서 LDCM 위성 제작 및 발사를 담당하고 지질조사국(USGS)은 위성의 운영 및 영상공급을 담당하기로 결정했다. 마침내 2013년에 LDCM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고, 후에 위성의 이름을 Land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