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해서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실행하기 위해서 입력자료의 크기나 구조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함수이다 numpy.stack ( arrays, axis=0, out=None ) 여기서, arrays는 넘파일 배열자료 axis는 넘파일 배열 자료를 쌓는 방법인데 0은 행방향으로, 1은 열방향으로, 2는 3차원 z축방향으로 배열 자료른 쌓는다. 예제1 import numpy as np new_arr = np.array([[45,67],[98,23]]) new_arr2 = np.array([[890,123],[45,95]]) result= np.stack((new_arr,new_arr2),0) print(result) 예제 1 결과 예제 2 import numpy as np r..
센티넬 위성자료는 다음그림처럼 13개 밴드로 구성되며 식생지수와 관련된 밴드는 적외선 밴드 3과 근적외선 밴드 8이다. 다음 그림은 식생상태와 식생지수와 관계를 보여주는데 식생지수 값이 0에서-1은 죽은 식물 상태를, 0에서 0.33은 건강하지 못한 식물 상태를, 0.33에서 0.66은 일반적을 건강한 식물 상태를, 0.66에서 1은 아주 건강한 식물 상태라는 것을 의미 하지만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식생지수값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식생지수 NDVI 계산식은 아래 식과 같이 근적외선 밴드의 반사율에서 적색광 밴드의 반사율을 뺀 값을 합산한 것으로 나누는 것이다. (nir -red)/(nir+red)
이번 글은 범용적이고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Landsat 8 위성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일단 위성이미지를 다운로드하려면 USGS 웹사이트(EarthExplorer: https://earthexplorer.usgs.gov/)에서 무료 계정으로 회원가입 한 후 로그인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은 EarthExplorer를 사용하여 다운로드 할 대상 지역의 이미지를 단계별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처음에는 대화형 지도를 탐색하고 관심 지역을 확대한 다음 지도 사용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구름이 많은 이미지를 피하기 위해 구름 커버가 0%에서 20% 사이인 이미지에 대해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1일까지 원하는 위성사진이 촬영된관 기간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데이터 세..
딥러닝 프로세스 딥러닝 모델 구축 및 훈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따른다. 데이터 전처리, 모델의 생성, 컴파일, 훈련은 모델의 훈련을 위한 필수 프로세스로 누락되는 단계는 없다. 예측(predict)은 예측용 데이터 셋을 입력하여 모델 예측 값을 얻는 과정이다. 검증(evaluate)은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말한다.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를 모델에 주입하기 전에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데이터 셋의 종류와 적용하려는 문제 유형에 따라 전처리 방법은 다양하다. 때에 따라서는 배열의 차원을 변경하거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에서 데이터 셋의 형태나 차원을 미리 구상해야 다음 단계에서 모델을 설계할 때 입력할 데이터 셋의 형태를 올바르게 정의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
원격탐사영상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육안에 의한 영상판독과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처리로 나눌 수 있다. 물론 현재 원격탐사영상은 대부분 디지털 자료이므로, 컴퓨터 영상처리가 주된 방법이지만, 모니터에 출력된 영상을 육안으로 판독하고 해석하는 방법도 함께 필요하다. 필름에 의하여 생성된 과거의 항공사진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주로 육안에 의한 시각적 해석과 판독에 의존하였다. 항공사진의 분석 기술은 추출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진측량과 사진판독으로 나뉜다. 사진측량은 지형지물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거리, 방향, 면적 형상 등의 정보를 추출하며, 사진관은 특정 물체 및 지표물을 인식, 구분, 탐지하는 정성적인 정보 해석기술이다. 현재의 사진측량은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
SPOT 및 Sentinel-2 미국의 Landsat 프로그램이 비록 실험위성으로 시작했지만, 기대 이상의 성과가 도출됨에 따라 프랑스 러시아, 일본, 인도 등 다른 나라에서도 독자적인 지구관측위성 개발을 추진했다. 1980년대에 여러 나라에서 지구관측위성을 발사했는데, 프랑스 정부를 주축으로 개발한 SPOT(Systeme Pour I’Observation de la Terre)-1호가 1986년에 발사된 이래 지금까지 모두 7기의 위성을 발사하여 양질의 다중분광영상을 지속적으로 영상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유럽우주국(ESA)을 주축으로 유럽 여러 나라가 공동으로 지구관측위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SPOT 위성 또한 유럽의 다른 위성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SPOT 프로그램의 개요 SPOT은 ..